Rx 4가지 Map

갑작스럽게 안드로이드 개발을 시작하면서 온전히 내가 만든 코드가 아닌, 선임자가 만들고 간 코드를 분석하고 해석하며 개발에 입문하였다.

대부분의 개발 과정에서는 선임자의 코드를 약간씩 변형하고, 필요한 니즈에 맞춰 변수나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정도 선에서 해결할 수 있었다. 완전히 새로운 영역의 개발이 필요하거나 하는 문제가 없었으나, 1년차 꼬꼬마 개발자에게 Rx는 높은 벽이였다.

물론 아직도 Rx를 이해하고 활용하기에는 너무나도 배움이 부족하고, 경험이 적다.

그래도 아무 것도 모르던 때 구글링해서 글만 읽던 때 보다는 다시 정리하며 얻어갈 부분이 더 있으리라고 생각하여, 이 쯤에서 한번 다시 배우고 가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Map Operator

우선, Rx의 기본은 Obserable과 Subscribe, 그 다음은 Map을 통한 데이터 가공 및 전달이라고 생각한다.

Map은 또 뭔데 씹덕아!

라고 한다면, Observable로 수신한 데이터를 새로운 형태로 가공하는데 쓰이는 것 이라고 쓰여있기는 하다.

분명 맞는 말이고 정확하지만 조금 더 쉽게 표현하자면 단순한 함수(function)와 거의 비슷하다.

차이점이라면, 수신하는 데이터의 흐름에 대응하여 처리한다는 차이점이 존재하기에, 흐름에 대응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4가지의 함수로 나뉜다는 점이다.

1. Map()

사진1

가장 기본이 되는 Map이다. 이름부터 우리가 흔히 사용하던 “매핑”과 같은 뜻으로 직관적인 기능을 갖는 함수다. (사진의 하얀 부분 (map{○ –> ◇}) 은 어떤 input를 바탕으로 값을 변환하는 과정)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어떤 작업을 수행 후, 결과를 return하는 간단한 함수와 같은 역할을 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lambda의 그것을 생각하면 편하다.

후술하겠지만, Map()은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데이터로 반환하지만, 다른 Map Operator들은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데이터 내 각각의 아이템을 각각의 Observable로 반환한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모든 함수가 놀랍게도 지연 시간이 없거나, 모든 데이터가 예쁘게도 함수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만 수신된다면 좋겠지만, 바빠 죽겠는데 수신되는 눈치 없는 데이터들도 분명히 존재한다.

그 때는 아래 후술할 3가지의 Map Operator을 통해 데이터의 처리 방식과 순서를 원하는 대로 컨트롤 할 수 있다.

2. FlatMap()

사진2

그림을 보면 초록 동그라미의 수신 후, 결과 값의 반환이 종료 되지 않았음에도 파란 동그라미를 수신하고, 파란 동그라미에 대한 결과 값을 반환하기 시작한다.

또한, 그림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오히려 먼저 수신한 데이터가 더 늦게 작업이 종료될 수도 있다.

이는 FlatMap()을 통해 결과 값으로 만들어진 각각의 Observable들은 각각의 Lifecycle를 지니기에, 데이터의 순서를 신경쓰지 않는다는 처리방식에서 발생하는 특징이다.

FlatMap()부터는 위에서 언급한 Map()과는 다르게, Observable형으로 데이터를 반환하는데, 이는 데이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는 데 용이하다는 사용 상의 차이점을 낳는다.

3. ConcatMap()

사진3

그림을 보면, FlatMap()과는 다르게, 초록 동그라미의 결과 값의 반환이 종료되기 전에 파란 동그라미라는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 초록 동그라미를 마저 완료하고 파란 동그라미를 처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latMap()과 거의 비슷하게 각각의 Observable들이 각각의 Lifecycle를 지니지만,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가 아직 처리중이라면, 종료 시까지 기다리는 특징을 갖는다.

데이터의 수신 주기가 일정하지 않고, 데이터 처리 소요 시간이 길지 않다적합한 선택지이겠지만, 데이터의 수신 주기가 짧고, 데이터의 처리가 오래 걸리는 작업이라면 오히려 끔찍한 성능을 보여줄 것이다.

하지만, 모든 데이터의 순서를 따르는 안전한 처리가 보장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선택해 볼만한 선택지로 작용할 것이다.

4. SwitchMap()

사진4

그림을 보면, FlatMap()과는 다르게, 초록 동그라미의 결과 값의 반환이 종료되기 전에 파란 동그라미라는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 초록 동그라미의 처리를 중지하고 파란 동그라미를 처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간 과정보다는 마지막 값의 결과만이 중요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이다.

우리 주변에서는 검색, 비밀번호 유효성 검사 등이 SwitchMap()을 대표하는 가장 흔한 예시이다.

참고 사이트

태그: ,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